사기 고소대리 │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위반 형사고소 조력사례 │ 유사수신행위 형사고소 조력해 기소 형사재판중

결과불구속구공판
결정일2025. 5.
단계수사기관
  • 사건 요지

    ‘원금 보장’ 믿고 투자했다가…가상화폐 사기, 이렇게 기소까지 끌어냈다

    가상화폐 투자 사기로 억대 손실 위기를 맞았던 피해자가 법무법인 시대로의 도움으로 피고인을 ‘유사수신행위·사기죄’로 기소시킨 성공사례를 쉽고 간략히 소개합니다.
  • 사건 개요

    1️⃣ 2019년 3월경 한 설명회에서 “모 가상화폐(가칭 X코인)에 투자하면 원금 120 % 보장, 일일 고정 이자 지급”이라는 제안이 퍼졌습니다.

    2️⃣의뢰인 포함 다수 투자자는 짧은 기간 동안 수차례 송금해 1 억 원대 중반을 투자했습니다.


    ✅ 위기 포인트

    1. 첫 달 일부 이자가 지급된 뒤 다음 달부터 전액 중단.

    2. 코인 가격은 급락했고 원금 회수가 전혀 이뤄지지 않음.

    3. 투자자들은 ‘사기일까?’ 고민 끝에 법무법인 시대로에 도움을 요청했습니다.

  • 변호인의 조력

    “원금 100 % 이상 보장, 매일 고정 이자!”

    이런 제안을 받아본 적 있나요? 투자 사기는 점점 교묘해지지만, 실제 판례를 알면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법적 대응의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    ✅ 관련 법률 한눈에 보기
    1. 형법 제347조(사기) – 기망으로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면 처벌.
    2.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 – 인가 없이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면 처벌.

    ✅ 증거 수집 & 분석

    1. 입출금·지갑 기록으로 실질적 현금 유입을 입증.
    2. “확정 수익”을 강조한 홍보 자료·대화 캡처 확보.
    3. 피해 규모 및 피해자 명단을 집계해 다수 피해를 강조.

    ✅전략
    1. 유사수신행위 프레임: 가상자산이어도 실질은 현금 모집 ⇒ 법률 적용 폭 넓힘.
    2. 지속적 범행 강조: 현재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활동 중임을 부각해 기소 필요성 설득.



    ✅ 같은 문제로 고민하는 분들께 드리는 팁

    1. 체크리스트
    - “고수익·원금 보장” 문구가 있나?
    - 사업자 인·허가 여부는?
    - 실체 없는 가상화폐인가?

    2. 초기 대응 3단계
    ① 거래·지갑 내역 캡처
    ② 투자자 모임 결성(증언 확보)
    ③ 전문 변호사 상담 후 진술서 작성

    3. 상담 준비 서류
    - 입금증·지갑 주소
    - 투자 제안서
    - 단체 대화방 캡처

    불확실한 가상화폐 시장, 믿음 보다 증거가 먼저입니다.
    법무법인 시대로는 판례로 검증된 노하우로 신속·정확한 대응을 돕습니다.
  • 결과

    검찰 기소 결정: 사기죄와 유사수신행위 위반 모두 인정.
담당 변호사

변호사

상담 신청

^^N